Statistic & Probability
확률변수, 확률분포의 의미 및 종류
JaeEun Yoo
2021. 11. 4. 17:02
혼자 공부하는 것을 정리하는 포스팅입니다.
자세한 설명은 원출처를 참고해주세요...
1. 확률 현상
- 어떤 결과가 있는지는 알지만, 가능한 상황에서 어떠한 결과가 나올지 모르는 현상
- e.g.) 동전을 던지는 현상에서 동전의 앞면 혹은 뒷면이 나올 것이라는 것은 알고 있으나, 앞면과 뒷면 중 어떤 결과가 나올지는 모름.
2. 확률 변수 (Random variable)
- 확률 현상에 기인하여 결과값이 확률적으로 정해지는 변수
- e.g.) 동전을 던지는 상황인 확률 현상에서, 500원짜리 동전을 한 번 던졌을 때 학(0)이 나오는 횟수인 확률변수 X
- P(X=0) = 1/2
3. 확률 분포 (Probability Distribution)
- 확률 변수가 특정한 값을 가질 확률을 나타내는 함수
3-1. 이산확률분포 (Discrete Probability Distribution)
- 이산확률변수의 확률 분포를 의미함.
- 이산 확률 변수 : 확률변수가 가질 수 있는 값을 셀 수 있음
- e.g.) 주사위를 던져서 나오는 눈의 개수
- 3-2a. 확률질량함수 (Probability Mass Function, pmf)
- 이산확률변수에서 특정 값에 대한 확률을 나타내는 함수
- e.g.) 주사위 눈이 1일 확률 =f(1) = P(X=1) = 1/6
3-2. 연속확률분포 (Continuous Probability Distribution)
- 연속확률변수의 확률 분포를 의미함.
- 연속확률변수 : 확률변수가 가질 수 있는 값을 셀 수 없음
- e.g.) 중학교 1학년 학생의 평균 키
- 3-2b. 확률밀도함수 (Probability Density Function, pdf)
- 연속확률변수가 특정 구간에 포함될 확률.
- 그러나 연속확률분포는 연속확률변수가 가지는 값을 셀 수 없으므로 특정값을 가질 수 있는 확률이 0이 됨.
- 따라서, "특정값의 구간에 포함될 확률"로 표현됨. (누적분포함수)
4. 누적분포함수 (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, cdf)
- 주어진 확률변수가 특정값보다 작거나 같을 확률
- e.g.) 3개의 동전을 던져 앞면이 나올 확률 P(1< X ≤ 3)
출처
https://losskatsu.github.io/statistics/random-variable/
https://losskatsu.github.io/statistics/prob-distribution/
[기초통계] 확률변수(random variable)의 개념, 의미
확률변수(random variable)의 개념, 의미
losskatsu.github.io